미래자동차모빌리티연계전공
-
자율주행 상용화, 전기차 대중화, IT/SW 기술 융합에 힘입어 4차 산업혁명시대에 모빌리티 산업이 급성장하고 있음. 차 산업혁명 시대의 최첨단 ICT 기술이 융합된 친환경 (전동화), 스마트 (자율주행, 연결성), 서비스 (차량공유, 모빌리티서비스)화 되어 단순한 이동수단을 넘어 사회 전체를 연결하는 초연결 (Hyper-Connectivity) 미래 사회를 구현하는 핵심 신기술 분야로써 미래사회에 많은 인재를 필요로 하고 있다고 판단하여 본 전공을 개설함.
UAM/드론, 딜리버리로봇, Personal Mobility, TaaS/MaaS 등의 다양한 차세대 이동수단의 개발 및 실현으로 관련 산업 수요가 급성정할 것으로 예상되며, 본 전공을 통해서 산업계에서 필요로 하는 실무 능력을 갖춘 미래모빌리티 분야 핵심 인재 육성 -
UAM/드론, 딜리버리로봇, Personal Mobility, TaaS/MaaS 등의 다양한 미래모빌리티 분야의 전문가로 진출함. 예 )
진로 산업체-국내 산업체-해외 드론/UAM 현대자동차, 한화시스템 DJI, Lilium, Airbus 딜리버리 로봇 우아한형제들(배달의 민족), 베어로보틱스, 로보티즈, 네이버랩스 뉴로, Starship Technologies, 키위봇 PM(육해공) 카카오모빌리티, 더스윙, 킥고잉 Lime, 세그웨이 나잇봇, 샤오미 TaaS/MaaS 카카오모빌리티, 티맵모빌리티, 쏘카 우버, 리프트, 디디추싱, 그랩, 고젝 -
- 주관학부(과, 전공) : 자동차융합대학 미래모빌리티학과(02-910-6693)
- 디지털 혁신공유대학 사업 수행을 위해 신설되는 미래자동차모빌리티연계전공은 미래모빌리티학과와 미래자동차학부에서 개설될 예정으로 미래자동차 분야와 모빌리티 분야의 연계 및 융합을 통한 모빌리티 관련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두고 있음. 이를 위해 초급, 중급, 고급으로 구분하여 교과목을 지정하고, 마이크로디그리, 부전공, 다전공, 심화전공을 이수할 수 있는 교육 과정을 구성함.
- ※ 타교개설 교과목 학점 인정은 교육부 ‘첨단분야 혁신융합대학사업’ 미래자동차분야 참여대학으로 한정함.
- ※ 다전공 이수 시 36학점 이상 이수하여야 하며, 아래 요건을 모두 충족하여야 함.
- - 중‧고급 과정 27학점 이상 이수
- - 미래자동차전공* 지정 교과목을 18학점 이상 이수하여야 함(미래모빌리티학과 상호인정과목(A~B) 이수 포함).
- ※ 부전공 이수 시 18학점 이상 이수하여야 하며, 아래 요건을 모두 충족하여야 함.
- - 중‧고급 과정 15학점 이상 이수
- - 미래자동차전공* 지정 교과목을 10학점 이상 이수하여야 함(미래모빌리티학과 상호인정과목(A~B)이수 포함).
- ※ 다전공 이수 시 최대 12학점 중복인정하며, 부전공 이수 시 중복인정 불가함.
- - 제1전공 또는 다전공으로 이수한 교과목에 한해 1회만 중복인정 받을 수 있음.
- ※ 다·부전공 이수조건은 2024학년도 이전 신청자에게도 동일하게 적용함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