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래자동차전공
-
디지털 혁신공유대학사업 신기술분야인 미래자동차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최첨단 ICT 기술이 융합된 친환경 (전동화), 스마트 (자율주행, 연결성), 서비스 (차량공유, 모빌리티서비스)화 되어 단순한 이동수단을 넘어 사회 전체를 연결하는 초연결 (Hyper-Connectivity) 미래 사회를 구현하는 핵심 신기술 분야로써 미래사회에 많은 인재를 필요로 하고 있다고 판단하여 본 전공을 개설함.
본 전공의 교육목표는 도전・소통・협력을 통한 미래자동차 혁신인재 양성임 본 전공에서는 경계없는 교육생태계 구축에 도전하고, 대학, 연구기관, 산업체, 정부부처가 소통할 수 있는 장을 만들어 각 기관이 가지고 있는 역량을 결집·공유할 수 있도록 협력하는 모델을 구현함으로써 미래자동차 혁신인재를 양성하고자 함
본 전공의 인재상은 미래자동차 혁신인재 양성이란 교육목표를 실현하기 위하여‘세상을 바꾸는 자율주행 xEV π형 인재’로 정의함. π형 인재’란 길이는 다르지만 수직으로 내려온 두 선처럼 전공, 부전공 분야에 대한 깊이를 쌓고, 그 위에 맞닿아있는 수평선처럼 이를 아우를 수 있는 다양한 분야의 공부를 함으로써 새로운 지식과 창의력을 무한 발산하는 인재를 의미함 -
미래자동차전공 이수를 통해 신기술도입으로 발전가능한 자동차산업의 현장의 인재로 진출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육과정을 도입할 예정이며, 기술인력이 큰 폭으로 증가할 친환경자동차 분야와 자율주행자동차 분야의 전문인력으로 진출할 것으로 기대함.
-
- 주관학부(과, 전공) : 자동차융합대학 미래자동차학부(02-910-6677)
- ※ 타교개설 교과목 학점 인정은 교육부 ‘첨단분야 혁신융합대학사업’ 미래자동차분야 참여대학으로 한정함.
- ※ 다전공 이수 시 중‧고급 과정 24학점 이상을 포함하여 36학점 이상 이수해야 하며, 자동차공학과, 자동차IT융합학과 소속 학생은 신청할 수 없음.
- ※ 부전공 이수 시 중‧고급 과정 14학점 이상을 포함하여 18학점 이상 이수해야 하며, 자동차공학과, 자동차IT융합학과 소속 학생은 신청할 수 없음.
- ※ 다전공 이수 시 최대 12학점 중복인정하며, 부전공 이수 시 중복인정 불가함.
- ※ 다·부전공 이수 조건은 2024학년도 이전 신청자에게도 동일하게 적용함.
- ※ 세부전공은 전공과 관계없이 신청 가능하며, 세부전공별 지정과목 및 학점을 이수해야 함.
- - ‘자동차재료학’ 및 ‘자동차인간공학’ 교과목은 2022학년도 2학기부터 마이크로디그리 이수 교과목으로 인정함.
- - ‘자동차기능실습’ 교과목은 마이크로디그리 이수 교과목으로 인정하지 않음.
- - ‘알파프로젝트’ 는 ‘고급과정’ 지정 교과목임. 단, 마이크로디그리 이수 시 초‧중‧고급 구분 없이 ‘미래자동차분야’에 한해 3학점까지 인정됨.